본문 바로가기

정보모으기/일반상식

우리나라,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등재)

 

 

 

 

2. 종묘(1995년 등재)

 

 

위 사진은 종묘 영녕전의 모습입니다.

종묘는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를 모신 사당으로

정전과 영녕전에서 제례행사를 가졌다더군요.

 

 

 

 

3. 석굴암, 불국사(1995년 등재)

 

 

 

 

 

4. 창덕궁(1997년 등재)

 

(창덕궁 돈화문의 모습)

 

 

 

 

5. 수원 화성(1997년 등재)

 

(수원 화성의 팔달문 모습)

 

 

 

 

 

 

6. 강화, 화순, 고창 고인돌 유적지(2000년 등재)

 

 

 

 

 

 

 

 

7. 경주 역사 유적지구(2000년 등재)

 

경주 역사 지구에는

월성 지구(계림, 첨성대)

대릉원 지구(천마총)

황룡사 지구(분황사)

산성 지구(명활산성)

남산 지구(포석정, 나정)

이렇게 다섯 지구가 있습니다.

 

실제로 경주에 가보면 도로 표시판에도 표시되어 있더라구요.

각 지구별로 특색이 있었다고 할까요.

 

 

 

 

 

8. 조선왕릉(2009년 등재)

 

 

 

 

 

 

 

 

9. 한국의 역사마을(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2010년 등재)

 

 

 

 

 

 

 

10. 남한산성(2014년 등재)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갔던 장소로 유명하죠.

결국 인조는 청나라에 항복하고,

삼전도의 굴욕이 있었던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남한산성>이란 책으로 더 유명해진 장소죠.

 

 

 

 

11. 백제 역사 유적지구(2015년 등재)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새롭게 등재된 백제 역사 유적지구는

공주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부여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와 나성

익산 왕궁리 유적

미륵사지 유적

백제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적 지구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저도 꼭 가보고 싶은 곳 중 하나입니다.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와 정도전의 라이벌, 최영과 정몽주
http://janguk.kr/t49ibn0xjj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와 해동 장량이라 불리며 조선의 개국에 큰 역할을 한 정도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또한 이성계와 영원한 라이벌로 회자되는 최영 장군과 정도전과 같은 신진사대부 세력이었지만 입장을 달리 한 정몽주의 이야기도 같이 풀어볼까 합니다.